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이전에 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던 글과 관련된 치환자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려 한다.
아래의 치환자들의 사용할때 공통적으로 글 치환자인 <s_article_rep> 그룹치환자 아래에 작성하면 된다.
글 관리 치환자
글 관리 기능하는 치환자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글 관리 그룹치환자는 <s_ad_div>의 그룹치환자를 사용한다. 해당 기능은 내가 블로그 관리 페이지가 아닌 페이지에서 글에 대한 관리를 하고 싶지 않다면 넘어가도 되는 부분이다. 글 관리 관련 치환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참고하여 사용하면 된다.
태그 치환자
글을 작성할때 추가로 작성한 태그들의 내용을 치환해 주는 역할을 한다. 태그 관련 치환자는 아래와 사진과 같이 간단하다.
다만 한가지 알아둬야 할 것은 '##_tag_label_rep##' 치환자의 경우 단순한 태그명으로 치환되는 것이 아닌 아래의 사진과 같이 <a> 태그를 활용하여 클릭 시 해당 태그 관련 글 리스트로 이동하는 기능을 하는 태그로 치환된다.
<a href="/tag/태그명" rel="tag">태그명</a>
아래는 태그 치환자를 활용하여 작성한 결과물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을 작성할 때 설정한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글에 정보를 제공하는 치환자이다. 만약 글의 카테고리를 설정하지 않았다면 해당 치환자는 작동하지 않는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환자는 아래의 사진과 같다.
아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환자를 활용하여 작성한 결과물이다.
댓글 치환자
댓글 치환자는 이번 포스팅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치환자이다. 댓글 치환자 내부에는 크게 입력 폼 치환자와 입력된 댓글을 보여주는 댓글리스트 치환자가 있다. 이전의 방명록 치환자에 대한 포스팅을 보게 되며 상당히 비슷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방명록 치환자 살펴보기 #7
방명록 · GitBook tistory.github.io 이번 포스팅은 방명록 관련 치환자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방명록도 이전에 포스팅한 태그 클라우드와 마찬가지로 방명록에 대한 페이지 내용을 관련 치환
nubee.tistory.com
아래의 사진을 보자 치환자의 이름만 조금 다르고 역할이 동일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때문에 구조에 대한 설명은 위의 방명록을 참고하자.
먼저 입력폼 리스트 관련 치환자이다. 해당 부분에는 비밀글 관련치환자가 명시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하여 방명록의 비밀글 치환자로도 사용하였다.
다음은 입력된 댓글을 리스트화하여 전달하는 치환자이다. 방명록의 형태와 매우 유사하여 넘어가도록 하겠다.
댓글 치환자의 경우에도 방명록 치환자와 같이 "##_comment_group_##" 치환자를 제공하여 기본설정이 되어 있는 댓글 개수, 댓글 리스트, 댓글 작성폼이 포함된 구조로 치환된다.
'Tistory > 스킨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드바 관련 치환자를 살펴보자 #10 (2) | 2023.12.21 |
---|---|
리스트 치환자 살펴포자 #9 (0) | 2023.12.20 |
글 치환자를 살펴보자 #8-1 (0) | 2023.12.20 |
방명록 치환자 살펴보자 #7 (2) | 2023.12.19 |
태그 클라우드 치환자 살펴보자 #6 (2) | 2023.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