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은 리스트 치환자이다. 블로그 스킨을 만들때 이부분과 함께 글관련 치환자가 가장 헷갈렸다. 그 이유는 글의 인덱스 페이지 치환자와 리스트 치환자가 하는 역활이 비슷하게 작동하기 때문이였다. 그래서 필자는 해당 부분은 리스트 페이징 기능 및 리스트가 없을때의 기능, 리스트의 헤더에 활용하였다.
글의 인덱스 페이지 치환자와의 차이점
스킨가이드 문서를 확인해 보면 가장큰 차이점은 해당 어떤 카테고리 및 검색에 대한 내용의 리스트인지 와 그에 따른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있다. 이 차이점을 제외하고 글의 인덱스 페이지 치환자와 동일한것으로 파악했다.
리스트 그룹치환자
스킨을 만들면서 사용한 리스트 관련 치환자 대해서 살펴보겠다. 먼저 리스트의 헤더역활을 하는 리스트 그룹 치환자에 대해서 소개하겠다. 아래의 사진은 리스트 그룹 치환자의 구조이다. 다른 치환자와 같이 리스트 그룹치환자는 <s_list>라는 그룹치환자 내부에 작성한다.
리스트 반복 치환자
다음으로는 리스트의 유무와 관련된 치환자이다. 아래의 사진과 같이 <s_list_empty>는 리스트에 글이 없는 경우 렌더링되는것을 작성하는 그룹치환자이다.
필자는 해당 치환자와 공통치환자의 "##_body_id_##" 값 치환자와 script를 활용하여 각 영역의 리스트 마다 다른 화면을 렌더링 하였다.
리스트 페이징 치환자
마지막으로 리스트에서 필수요소 중에 한개인 리스트 페이징 관련 치환자이다. 페이징 치환자는 리스트의 pagenation 기능을 제공한다. 해당 치환자의 구조는 다음 아래와 같다. <s_paging> 태그는 <s_list>내부에 작성한다.
위에서 설명한 치환자를 활용화여 아래처럼 리스트를 작성했다.
'Tistory > 스킨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드바 관련 치환자를 살펴보자 #10 (2) | 2023.12.21 |
---|---|
글 치환자를 살펴보자 #8-2 (2) | 2023.12.20 |
글 치환자를 살펴보자 #8-1 (0) | 2023.12.20 |
방명록 치환자 살펴보자 #7 (2) | 2023.12.19 |
태그 클라우드 치환자 살펴보자 #6 (2) | 2023.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