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story/스킨 만들기

치환자 구조 살펴보자 #2

by 강누비 2023. 12. 18.
반응형

 

 

파일구조 살펴보기 #1

스킨 제작을 위한 첫걸음 #0 블로그 포스팅을 하기 앞서 내가 원하는 스킨을 따로 한번 만들어보고 싶어졌다. 기본 Tistory에서 제공해주는 " 티스토리 제공 스킨 가이드 "을 보고 바로 이해하기는

nubee.tistory.com

이전 글에서 예정했던 대로 치환자에 대해 살펴보겠다.

 

먼저 Tistort의 블로그의 스킨을 개발에 잘 파악해야 하는 것 중에서 하나라고 생각한다.

치환자의 역할은 이름 그대로  치환자를 통해 내부의 데이터를 포함된 렌더링된 값 또는 데이터 원본으로 치환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치환자의 종류는 크게 값치환자, 그룹치환자로 2가지로 나뉜다.

그룹치환자 및 값치환자

 

 

먼저 그룹치환자이다. 그룹치환자는 데이터가 포함된 렌더링된 값으로 치환된다. 형태는 아래와 같이 꺽쇠 괄호 사이에 s_xxxx의 형태의 태그네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룹 치환자

 

다음으로는 값치환자의 형태로는 아래와 같이 대괄호 사이에 ##_xx_##의 형태로 이뤄져 있으며, 값치환자의 역할은 이름 그대로 데이터로 치환된다.

값 치환자

 

간단한 예를 들어 설명을 해보겠다.

아래와 같이 치환자를 사용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해당 내용은 태그 클라우드 관련 치환자를 예로 사용하였다.

치환자 사용의 예

 

 

먼저 해당 코드에서 그룹치환자를 찾아보자. 그룹치환자는 주황색 네모로 표시해 보았다.

그룹 치환자

 

다음으로는 값 치환자를 찾아보자. 값 치환자는 하늘색 네모로 표시해 보았다.

값치환자

 

이제 해당되는 치환자가 실제로 어떻게 치환되어 렌더링 되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자.

 

아래의 사진처럼 치환자가 데이터화 치환되어 사용된다. 그룹치환자는 먼저 설명한 것과 같이 데이터가 포함된 렌더링된 구조로 치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값치환자는 데이터의 그대로 치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치환자의  치환 결과

 

 

이렇게 치환자의 특징을 정리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각 종류별로 있는 치환자에 대해 하나씩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