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 치환자 살펴보기 #3
치환자 구조 살펴보기 #2 파일구조 살펴보기 #1 스킨 제작을 위한 첫걸음 #0 블로그 포스팅을 하기 앞서 내가 원하는 스킨을 따로 한번 만들어보고 싶어졌다. 기본 Tistory에서 제공해주는 " 티스토
nubee.tistory.com
이전의 공통 치환자에 이어서 홈 커버에 대해 살펴보자. 이전의 치환자가 무엇이지 모르는 경우와 index.xml에 대해 모른다면 스킨 만들기를 참고한 후 읽어보면 도움이 될 거 같다.
홈 커버란?
홈 커버란 블로그의 index 페이지인 메인화면을 위해 사용되는 치환자이다. 홈 커버의 경우 앞서 파일 구조에서 소개한 index.xml의 내부에 아래와 같은 형식인 cover > itme > name, lable, description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전에 index.xml에 개발할 커버에 대한 것을 명시해야 하며, 그 이후 skin.html 내부에 해당 cover에 대한 내용을 개발한다. 명시된 커버는 아래의 사진과 같이 스킨편집 > 홈설정(커버)에서 설정할 수 있다.
홈커버 치환자 종류
홈커버의 치환자의 종류는 아래 사진과 같다. 커버는 크게 2가지의 종류로 나눈다. 컨텐츠가 글이 아닌 경우와 컨텐츠가 글인 경우로 컨텐츠의 글의 유무에 따라 나눈다.
콘텐츠의 글의 유무는 아래에서 처럼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했다. 아래의 사진처럼 콘텐츠의 타입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하며, 그에 맞게 .html을 개발을 하면 된다.
글의 유무에 따라 <s_cover_item_not_article_info>, <s_cover_item_article_info>의 그룹 치환자에 따라 내부의 값치환자의 차이가 있다. 2개의 그룹 치환자는 위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글의 유무로 나눠져 있어 두 그룹치환자 모두 아래의 사진의 값과 같이 값치환자가 있다.
그리고 <s_cover_item_article_info>는 글이 있는 경우의 그룹치환자이므로 글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가적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콘텐츠에 종류의 설정에 따라 값치환자에서 치환되는 정보의 종류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홈커버의 값치환자와 그룹치환자를 활용하여 나만의 홈커버를 구현하여 사용해보면 좋을 것 같다.
'Tistory > 스킨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그 클라우드 치환자 살펴보자 #6 (2) | 2023.12.19 |
---|---|
사용자 스킨 옵션 살펴보자 #5 (0) | 2023.12.19 |
공통 치환자 살펴보자 #3 (0) | 2023.12.18 |
치환자 구조 살펴보자 #2 (0) | 2023.12.18 |
파일구조 살펴보자 #1 (2)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