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꾸미기13 사용자 스킨 옵션 살펴보자 #5 홈 커버 살펴보기 #4 itme > name, lable, description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전에 index.xml에 개발할 커버에 대한 것을 명시해야 하며, 그 이후 skin.html 내부에 해당 cover에 대한 내용을 개발한다. 명시된 커버는 nubee.tistory.com 이전에 홈 커버와 관련된 치환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번엔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옵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스킨 옵션이란? 스킨 옵션은 스킨에서 사용할 옵션을 미리 기술해 놓고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Java에서 main함수의 String[] args 변수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면 좋을 것 같다. 스킨 옵션은 홈 커버와 마찬가지로 index.xml 파일에 미리 옵션에 대한 내용을 아래와 .. 2023. 12. 19. 홈 커버 치환자 살펴보자 #4 itme > name, lable, description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전에 index.xml에 개발할 커버에 대한 것을 명시해야 하며, 그 이후 skin.html 내부에 해당 cover에 대한 내용을 개발한다. 명시된 커버는 아래의 사진과 같이 스킨편집 > 홈설정(커버)에서 설정할 수 있다. 홈커버 치환자 종류 홈커버의 치환자의 종류는 아래 사진과 같다. 커버는 크게 2가지의 종류로 나눈다. 컨텐츠가 글이 아닌 경우와 컨텐츠가 글인 경우로 컨텐츠의 글의 유무에 따라 나눈다. 콘텐츠의 글의 유무는 아래에서 처럼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했다. 아래의 사진처럼 콘텐츠의 타입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하며, 그에 맞게 .html을 개발을 하면 된다. 글의 유무에 따라 , 의 그룹 치.. 2023. 12. 18. 공통 치환자 살펴보자 #3 치환자 구조 살펴보기 #2 파일구조 살펴보기 #1 스킨 제작을 위한 첫걸음 #0 블로그 포스팅을 하기 앞서 내가 원하는 스킨을 따로 한번 만들어보고 싶어졌다. 기본 Tistory에서 제공해주는 " 티스토리 제공 스킨 가이드 "을 nubee.tistory.com 앞서 치환자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 내용을 설명하기 때문에 해당 내용을 모르시면 보고 오시는 걸 추천한다. 오늘은 공통치환자에 대해서 살펴보려한다. 공통치환자란? 먼저 공통 치환자는 블로그에 가장 기본으로 사용되는 블로그 제목, 접속 URL 등의 기본 되는 것을 모아놓은 치환자이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라는 공통치환자이다. 가 치환자가 있음을 알리는 시작한다는 것을 알리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 2023. 12. 18. 치환자 구조 살펴보자 #2 파일구조 살펴보기 #1 스킨 제작을 위한 첫걸음 #0 블로그 포스팅을 하기 앞서 내가 원하는 스킨을 따로 한번 만들어보고 싶어졌다. 기본 Tistory에서 제공해주는 " 티스토리 제공 스킨 가이드 "을 보고 바로 이해하기는 nubee.tistory.com 이전 글에서 예정했던 대로 치환자에 대해 살펴보겠다. 먼저 Tistort의 블로그의 스킨을 개발에 잘 파악해야 하는 것 중에서 하나라고 생각한다. 치환자의 역할은 이름 그대로 치환자를 통해 내부의 데이터를 포함된 렌더링된 값 또는 데이터 원본으로 치환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치환자의 종류는 크게 값치환자, 그룹치환자로 2가지로 나뉜다. 먼저 그룹치환자이다. 그룹치환자는 데이터가 포함된 렌더링된 값으로 치환된다. 형태는 아래와 같이 꺽쇠 괄호 사이.. 2023. 12. 18. 파일구조 살펴보자 #1 스킨 제작을 위한 첫걸음 #0 블로그 포스팅을 하기 앞서 내가 원하는 스킨을 따로 한번 만들어보고 싶어졌다. 기본 Tistory에서 제공해주는 " 티스토리 제공 스킨 가이드 "을 보고 바로 이해하기는 어려웠다. 공용 스킨의 코드 nubee.tistory.com 가이드 문서에 따르면 스킨을 만들기 위한 파일구조는 아래와 같다. 위의 파일이 꼭 모두 필요한것은 아니다. 꼭 필요한 파일은 "index.xml, skin.html, style.css , images 폴더"이다. 1. index.xml 먼저 index.xml 파일부터 설명하겠다. 파일의 포맷을 보다시피. xml 형시의 파일이며, 스킨의 대한 기본적인 설정, 사용자 변수 등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index.xml 파일 구조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i.. 2023. 12. 18. 스킨 제작을 위한 첫걸음 #0 블로그 포스팅을 하기 앞서 내가 원하는 스킨을 따로 한번 만들어보고 싶어졌다. 기본 Tistory에서 제공해 주는 " 티스토리 제공 스킨 가이드 "을 보고 바로 이해하기는 어려웠다. 공용 스킨의 코드를 살펴보고 파악한 내용을 바탕으로 스킨을 제작했다. 나의 블로그 스킨을 만들면서 느낀점과 함께 과정을 요약해서 정리해 보겠다. 먼저 스킨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은 html, css, js에 대한 사전지식이 필요하다. 해당 기술에 대한 이름을 봤는데도 뭔지 모른다면 섣부르게 도전하는 건 추천하지 않는다. 앞으로의 관련 포스팅은 위의 3가지의 기술을 어느 정도는 알고 있다는 가정하게 진행해 보도록 하겠다. 2023. 12. 15.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